2024.06.01 (토)

  • 흐림속초17.3℃
  • 비17.3℃
  • 구름많음철원16.3℃
  • 구름조금동두천17.8℃
  • 맑음파주16.8℃
  • 흐림대관령12.5℃
  • 흐림춘천17.0℃
  • 구름조금백령도15.7℃
  • 흐림북강릉17.4℃
  • 흐림강릉17.5℃
  • 구름많음동해18.3℃
  • 구름많음서울17.7℃
  • 맑음인천17.2℃
  • 흐림원주18.2℃
  • 구름많음울릉도16.9℃
  • 박무수원16.4℃
  • 구름많음영월17.1℃
  • 흐림충주16.2℃
  • 구름많음서산16.7℃
  • 구름많음울진17.1℃
  • 흐림청주18.2℃
  • 구름많음대전16.8℃
  • 구름많음추풍령17.0℃
  • 구름많음안동16.6℃
  • 구름많음상주18.0℃
  • 구름많음포항20.4℃
  • 구름많음군산16.5℃
  • 흐림대구19.8℃
  • 박무전주16.9℃
  • 구름많음울산19.9℃
  • 구름많음창원20.2℃
  • 흐림광주17.3℃
  • 구름많음부산20.4℃
  • 구름많음통영19.0℃
  • 흐림목포17.6℃
  • 구름많음여수19.0℃
  • 구름많음흑산도16.4℃
  • 구름많음완도18.5℃
  • 구름많음고창17.1℃
  • 흐림순천16.0℃
  • 박무홍성(예)17.0℃
  • 흐림17.0℃
  • 구름많음제주18.6℃
  • 흐림고산17.7℃
  • 구름많음성산19.7℃
  • 구름많음서귀포19.3℃
  • 흐림진주15.8℃
  • 맑음강화17.1℃
  • 구름많음양평17.4℃
  • 구름많음이천17.8℃
  • 흐림인제15.4℃
  • 흐림홍천16.9℃
  • 구름조금태백15.0℃
  • 구름많음정선군15.2℃
  • 흐림제천16.5℃
  • 구름많음보은16.9℃
  • 흐림천안16.8℃
  • 구름많음보령17.0℃
  • 흐림부여17.0℃
  • 흐림금산16.2℃
  • 흐림17.0℃
  • 구름많음부안17.2℃
  • 구름많음임실15.4℃
  • 구름많음정읍17.2℃
  • 구름많음남원15.5℃
  • 구름많음장수13.9℃
  • 구름많음고창군17.0℃
  • 구름많음영광군17.2℃
  • 구름조금김해시19.6℃
  • 구름많음순창군15.9℃
  • 구름많음북창원20.6℃
  • 구름조금양산시20.5℃
  • 구름많음보성군18.2℃
  • 흐림강진군18.2℃
  • 흐림장흥17.0℃
  • 구름많음해남18.0℃
  • 구름많음고흥18.1℃
  • 흐림의령군16.6℃
  • 구름많음함양군17.8℃
  • 흐림광양시18.6℃
  • 흐림진도군17.7℃
  • 구름조금봉화13.3℃
  • 구름조금영주16.6℃
  • 구름많음문경17.9℃
  • 구름많음청송군16.4℃
  • 구름조금영덕17.9℃
  • 구름많음의성16.4℃
  • 구름많음구미18.1℃
  • 구름많음영천19.1℃
  • 구름많음경주시19.9℃
  • 구름많음거창15.4℃
  • 구름많음합천17.3℃
  • 구름많음밀양18.4℃
  • 구름많음산청17.4℃
  • 구름많음거제19.4℃
  • 구름많음남해19.3℃
  • 맑음18.8℃
‘상온 초전도체 최초 구현’ 한국 연구진 논문 논란…“검증 거쳐야”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상온 초전도체 최초 구현’ 한국 연구진 논문 논란…“검증 거쳐야”

과학계, 연구결과에 회의적인 분위기..외국 학계 "비판적" 국내 학계 "아직 검증 필요"

 

 

 

20230817_QTvUoE.jpg

 
 
한국 연구진이 과학계 난제 중 하나로 꼽혀온 상온 상압 초전도체를 개발했다는 논문이 알려지면서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논란이 커지고 있다고 KBS 한국방송 김유대 기자가 전했다.

방송 보도에 따르면 해당 논문에 외신도 주목하고 나섰지만, 외국 학계는 비판적이고 국내 학계 역시 아직 검증이 필요하다며 신중한 분위기다.

해당 연구진은 한 저자가 다른 저자들의 허락 없이 논문을 온라인 사이트에 올린 것이라며 정식 동료 평가 절차를 거쳐 논문을 게재하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22일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 ‘아카이브’에 상온과 대기압 조건에서 초전도 현상을 보이는 초전도체와 관련된 두 개의 논문이 올라왔다.

저자로는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 대표와 회사 연구자, 권영완 고려대 연구교수, 오근호 한양대 명예교수, 지난해까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근무했던 김현탁 박사 등이 포함됐다.

아카이브는 동료 평가를 거치지 않은 논문을 빠르게 공개하기 위한 사이트로, 누구나 쉽게 게재할 수 있는 구조다. 이곳에 나온 논문은 아직 학계의 검증을 받지 않은 것이다.

상온 초전도체는 과학계의 오랜 난제 중 하나다. 초전도 현상은 금속 등에서 전기저항이 어느 온도 아래에서 0이 되는 현상을 말한다.

전기 저항을 없애면 저항이 소모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어 자기부상열차나 전력망 등에 사용처가 무궁무진하지만, 현재는 극저온이나 초고압에서만 초전도 현상을 구현할 수 있어 활용도가 낮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납과 인회석 결정 구조인 ‘LK-99’라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했다며 초전도 현상이 일어나는 임계 온도가 섭씨 127도(400K)라고 주장했다. 온도가 127도 이하일 때는 초전도 현상이 일어난다는 뜻이다.

이들은 1990년대 고려대 화학과 최동식 명예교수가 주장한 이론을 바탕으로 20여 년에 걸쳐 연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퀀텀에너지연구소는 2008년 고려대 연구자들이 창업한 기업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내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고, 해외에서는 외신들이 잇따라 소개하는 등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과학계는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회의적인 분위기다.

해외에서도 상온 초전도체를 개발했다는 발표가 여러 차례 있었지만, 최근에도 재현성이 없다며 논문이 철회되는 등 논란이 있기 때문이다.

앞서 미국 로체스터대 랭거 디아스 교수 연구팀이 2020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대기압 100만 배 압력에서 상온 초전도체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지만, 재현이 불가능하다며 논문이 철회됐다.

디아스 교수는 올해 네이처에 다시 상온 초전도체 논문을 발표했지만, 2021년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낸 논문이 또다시 데이터 조작을 이유로 철회되면서 의심의 눈초리를 받고 있다.

한국 연구진의 이번 논문 역시 발표한 데이터가 세부 사항이 부족하다는 지적과 물질 특성상 초전도성이 발현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27일(현지시간) 이번 논문에 대해 조망하며 “논문의 세부사항이 부족해 물리학자들이 회의감에 휩싸여 있다”고 학계의 반응을 실었다.

사이언스는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등이 논문 내 물질을 재현하려고 시도하고 있다며 1주일 내로 물리학자들이 이번 주장을 검증할 수 있다고 전했다.

국내 과학계도 이들 연구자가 국내 초전도체 학계와 교류가 전혀 없었던 상황인 만큼 검증이 되기 전에는 신중하게 바라봐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논문 저자들은 이번 논문이 완성된 논문이 아니며 공개도 의도한 바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사진 = KBS 방송 화면 캡처]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