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1 (토)

  • 구름많음속초15.9℃
  • 구름조금20.7℃
  • 구름조금철원20.6℃
  • 맑음동두천20.4℃
  • 맑음파주20.9℃
  • 흐림대관령10.8℃
  • 구름조금춘천21.2℃
  • 맑음백령도15.8℃
  • 구름많음북강릉15.1℃
  • 구름많음강릉16.2℃
  • 흐림동해15.9℃
  • 맑음서울20.8℃
  • 맑음인천18.9℃
  • 구름조금원주21.3℃
  • 구름많음울릉도16.2℃
  • 맑음수원18.1℃
  • 구름조금영월17.3℃
  • 맑음충주20.5℃
  • 맑음서산17.7℃
  • 구름많음울진15.7℃
  • 맑음청주21.5℃
  • 맑음대전19.9℃
  • 맑음추풍령20.0℃
  • 맑음안동18.2℃
  • 맑음상주21.0℃
  • 흐림포항18.0℃
  • 맑음군산17.6℃
  • 구름조금대구20.3℃
  • 맑음전주19.2℃
  • 구름많음울산17.5℃
  • 구름조금창원20.6℃
  • 맑음광주19.3℃
  • 구름조금부산19.4℃
  • 구름많음통영20.7℃
  • 맑음목포18.4℃
  • 맑음여수22.6℃
  • 맑음흑산도16.3℃
  • 맑음완도19.5℃
  • 맑음고창18.0℃
  • 맑음순천19.0℃
  • 맑음홍성(예)19.5℃
  • 맑음19.4℃
  • 맑음제주19.3℃
  • 맑음고산17.7℃
  • 맑음성산18.9℃
  • 맑음서귀포20.6℃
  • 구름조금진주22.8℃
  • 맑음강화20.8℃
  • 맑음양평20.9℃
  • 맑음이천19.9℃
  • 구름조금인제16.8℃
  • 구름조금홍천20.1℃
  • 구름많음태백12.4℃
  • 구름많음정선군15.5℃
  • 맑음제천19.3℃
  • 맑음보은19.2℃
  • 맑음천안19.6℃
  • 맑음보령16.6℃
  • 맑음부여19.6℃
  • 맑음금산19.6℃
  • 맑음19.7℃
  • 맑음부안18.0℃
  • 맑음임실17.7℃
  • 구름조금정읍18.5℃
  • 맑음남원19.2℃
  • 맑음장수16.9℃
  • 구름조금고창군17.1℃
  • 맑음영광군17.8℃
  • 구름조금김해시19.7℃
  • 맑음순창군19.2℃
  • 구름조금북창원21.3℃
  • 구름조금양산시20.4℃
  • 맑음보성군20.8℃
  • 맑음강진군20.1℃
  • 맑음장흥20.2℃
  • 맑음해남19.0℃
  • 맑음고흥20.0℃
  • 구름많음의령군22.8℃
  • 맑음함양군21.1℃
  • 맑음광양시21.0℃
  • 맑음진도군17.8℃
  • 구름많음봉화16.8℃
  • 구름조금영주19.0℃
  • 맑음문경19.3℃
  • 구름조금청송군16.3℃
  • 구름많음영덕16.0℃
  • 구름많음의성20.7℃
  • 맑음구미21.7℃
  • 구름조금영천17.8℃
  • 구름많음경주시18.8℃
  • 맑음거창18.1℃
  • 맑음합천23.9℃
  • 구름조금밀양21.9℃
  • 맑음산청21.1℃
  • 구름많음거제19.9℃
  • 맑음남해22.1℃
  • 구름조금20.2℃
월패드에 소음알람 뜨고, 신공법 연구도…‘층간소음 줄이기 경쟁’ 격화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종합

월패드에 소음알람 뜨고, 신공법 연구도…‘층간소음 줄이기 경쟁’ 격화

측간, 대각선 등 '세대 간 소음'에 대한 기준과 연구개발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Screenshot 2023-12-25 at 15.53.54.JPG

 
최근 정부는 층간소음 기준에 미달한 아파트는 준공 승인을 내주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비용 대비 효과적인 소음 저감 방법을 찾고, 상용화시키는 건 건설사 생존 경쟁의 핵심이 됐다.

또 층간 소음뿐만 아니라 앞으론 측간, 대각선 등 '세대 간 소음'에 대한 기준과 연구개발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위 링크를 클릭하시면 KBS 뉴스 관련 기사 동영상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앵커


최근 정부는 층간소음 기준에 미달한 아파트는 준공 승인을 내주지 않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또, 층간소음은 소비자들이 집을 선택할 때도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는데요.

건설사들은 생존을 위한 소음 줄이기 경쟁에 나섰습니다.

오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올해 완공된 한 신축 아파트에 살고 있는 6살 민우군.

유치원에 다녀왔지만 집에서도 놀고 싶은 마음은 어쩔 수가 없습니다.

["나 파쿠르 잘해."]

주의를 줘도 가끔 소음이 발생하는데, 이럴 땐 벽에 설치된 센서가 도움이 됩니다.

내부 진동을 자동으로 감지해 39데시벨(주간)인 층간소음 기준을 넘어서면 월패드에 실시간으로 알람이 뜹니다.

사람마다 느끼는 소음 정도가 다르다 보니 시끄럽다는 쪽과, 소리 안 냈다는 쪽 사이에 갈등이 생기는데 객관적인 수치를 통해 문제를 줄여보려는 시도입니다.

[배장미·권민우/경기 연천군 : "(월패드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하면, 저도 모르게 '뛰지 마'하고 소리를 좀 지르게 되죠. 더 많은 소음이 발생하는 걸 방지할 수 있죠. (측정) 자료를 가지고 윗집을 설득할 수 있고, 아랫집을 설득할 수 있고…"]

아파트와 비슷하게 지어놓은 실험용 건물에선 바닥 재료나 공법 등을 달리하며 소음연구를 합니다.

우리나라 아파트는 대부분 벽식 구조라 층간소음에 취약한데, 소음을 줄이는 다른 형태의 구조도 테스트해봅니다.

[이승식/삼성물산 층간소음연구소 부소장 : "기둥, 보, 슬래브로 이뤄진 라멘식 세대고요. (실제로 그렇게 지어놓은 공간인거죠?) 실제로 그렇게 지어놨고요. 라멘식 세대에서의 층간소음 특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소음을 줄이는 확실한 방법은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를 두껍게 하는 거지만 그만큼 비용이 들고 분양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비용 대비 효과적인 소음 저감 방법을 찾고, 상용화시키는 건 건설사 생존 경쟁의 핵심이 됐습니다.

[이은형/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국내에는 건설사 숫자도 적은 편은 아닙니다.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시공능력이 없는 건설사라고 한다면 자연스럽게 시장에서 퇴출 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 층간 소음뿐만 아니라 앞으론 측간, 대각선 등 '세대 간 소음'에 대한 기준과 연구개발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촬영기자:지선호/영상편집:김대범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